ye._.veloper

[ GitHub ] Private Repository clone하기 본문

Git

[ GitHub ] Private Repository clone하기

ye._.veloper 2023. 2. 3. 18:13

 

환경 : Window OS, GitHub 

쉬운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를 작성하니 참고해서 사용하면 더 좋을 것 같다.

요약 : Private로 설정되어있던 팀 프로젝트를 내 Repository로 옮겨온 것

1 . Private으로 설정된 Repository로 들어간다.

      ex) Private으로 설정된 Repository 이름을 test 라고 가정하겠다.

 

2 . 위 사진과 같이 창이 뜨면, 우측 상단에 Fork를 눌러준다.

 

       ➡ Fork를 누르면 개인 Repository에 자동으로 Fork가 되어 올라가 있을 것이다.

          * Fork해온 Repository(test )가 Private으로 내 Repository로 왔을 것이다.

              그러나 Private을 Public으로 수정하는 것은 불가하기 때문에, Clone을 해줄 것이다.

3 . 로컬 디스크(C 드라이브) ➡ 사용자 개인 계정 git 폴더 까지 들어가기

       (git을 로컬 디스크에 저장한 사람만 해당 / 본인이 git 폴더를 저장한 경로를 따라가면 된다.)

4 . 들어간 git 폴더 내에서 우클릭 ➡ Git Bash Here 선택

5 . git bash 창이 열리면 clone(복사)하기 위해 아래의 명령어를 작성한다.

 

git clone --bare https://github.com/깃허브아이디​/개인레포지토리URL

      ex) git clone --bare https://github.com/user123/test

      * 여기까지 했다면, 3번에서 들어간 git 폴더에 Fork 해온 Repository 이름.git 폴더가 생성되어있어야 한다.

 

 

확인이 되었다면, 제대로 진행된 것이니 다음 순서로 넘어가자.

 

 

6 . 다시 git bash 창에 가서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자.

     

cd git Repository이름.git

​      ex) cd git test.git

             * git 명령어 중 "cd"는 "이동"한다는 뜻

            ∴ 뒤에 작성한 Repository.git 폴더로 이동하는 것

# 5 ~ 6 번까지 진행한 결과

6번을 작성한 후, 아래 와 다른 점을 비교해보면,

   ① ~/git 폴더까지 들어가있었지만, ~/git/test.git 폴더 안으로 이동한 것을 확인할 수 있고,

   ② branch가 master에서 BARE : main으로 바뀐 것을 알 수 있다.

 

7 . 여기까지 설정했다면 github로 들어가 clone해온 Repository를 담아줄 개인 Repository를 생성하자.

 

       ➡ Repository 생성 시, Public으로 생성해줘야 한다.

 

8 . 아까 열어둔 git bash창에서 아래 명령어 작성하기

git push --mirror 새로 만든 Repository URL

       ex) git push --mirror https://github.com/user123/test_clone.git

        ∴ 내가 새로 생성한 test_clone에 내용이 push 되어있을 것이다.

        cd ..
        rm -rf test.git

위 두 줄의 명령어는 각각 하나씩 작성해야 한다.

cd와 rm 이 두가지 모두 명령어이기 때문에 한 문장 안에서 사용 불가능하다.

 

* 5번에서 진행하여 만들어뒀던 test.git 폴더를 삭제해주는 작업이다.

 

9 . 내가 옮겨온 Repository는 팀 프로젝트이기 때문에, main 브랜치를 제외한 나머지 브랜치를 모두 삭제해준다.

 

1 ) 내가 만든 해당 Repository로 들어간 다음, 상단에 main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창이 뜬다.

 

View all branches 를 클릭하면 아래 사진과 같은 창이 뜰 것이다.

2 ) 맨 위의 Default branch의 main은 남겨둔 채, Your branches와 Active branches를 삭제하면 된다.

* 제일 오른쪽 빨간색 휴지통 클릭하면 Delete 할 수 있다.

'G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 Git ] Git 명령어 정리  (0) 2023.02.04
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