ye._.veloper

[ D B ] ER 모델(Entity-Relationship Model) 구성 요소 - Entity(엔티티, 개체) 특징, 분류 본문

D B

[ D B ] ER 모델(Entity-Relationship Model) 구성 요소 - Entity(엔티티, 개체) 특징, 분류

ye._.veloper 2023. 3. 6. 13:00

책을 읽으며 내용을 기억하기 위해 글을 작성하기로 했다.

 

☁ ER 모델(Entity-Relationship Model) 구성요소

     · 엔티티 (Entity)

     · 관계 (Relationship)

     · 속성 (Attribute)

💡 속성과 관계 중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된 식별자(Identifier)를 포함한다.

 

 

☁ 엔티티 (Entity)

     · 고객, 상품, 직원처럼 현실 세계에 실제로 존재하는 실체 또는 조직, 서비스, 직업처럼 개념적인 것

 

     · 철학적 측면에서의 실체란 ?

        - 실제 존재하는 것, 변하거나 없어지지 않는 것

           ➡ 즉, 그냥 존재하는 것 그 자체를 의미

 

     · 데이터 모델 측면에서의 실체란 ?

        - 업무를 구현하는 데 필요하고 관리해야 하는 주체, 대상, 행위 등의 모든 집합적인 것(Thing)

 

     · 주문, 계약처럼 실체와 실체 간의 관계에 해당하는 엔티티를 포함한다.

     · 적어도 둘 이상의 인스턴스(instance)가 존재할 수 있어야 하고, 최소한 둘 이상의 속성이 있어야 하며,

         반드시 각 인스턴스를 식별할 수 있는 속성이나 관계가 하나 이상 정의되어야 한다.

 

 

Entity 표기법

 

 

     · Entity는 슈퍼타입 엔티티나 서브타입 엔티티로 확장할 수 있다.

Entity 슈퍼타입 / 서브타입 표기법

      -  슈퍼타입, 서브타입 엔티티는 일반화/특수화 과정을 통해 도출된다.

 

         ▫ 슈퍼타입 Entity

           - 하나 이상의 서브타입 엔티티와 관계된 일반화된 엔티티

           - 서브타입에 공통으로 존재하는 속성을 관리

 

         ▫ 서브타입 Entity

           - 각각의 서브타입에만 존재하는 고유한 속성을 관리

           - 슈퍼타입의 식별자, 속성, 관계 등 모든 특성을 상속받음

 

          ➡ 슈퍼타입 엔티티인 {고객}[개인고객][법인고객] 서브타입 엔티티와 관계를 맺으며,

               고객의 공통 속성인 {고객명}, {주소}는 슈퍼타입 엔티티에서 관리

                [주민등록번호]는 개인 고객만 해당하므로 서브타입인 개인고객 엔티티에서 [법인등록번호]는 법인고객 엔티티에서 관리

슈퍼타입 / 서브타입 Entity


◽ 일반화 (Generalization)

     · Entity 각각이 갖고 있는 고유한 특징을 일반화하여 공통의 속성으로 재정의한 것

         ex ) 개인과 기업의 공통적인 성격을 묶어 고객으로 정의하고, 제품과 상품을 큰 틀에서 상품으로 재정의한 것

                 ➡ 엔티티를 일반화하면 여러 개의 엔티티를 하나의 공통된 엔티티로 만들 수 있다.

두 개 이상의 하위 수준(개인고객, 법인고객 엔티티)엔티티를 결합하여 상위 수준(고객 엔티티)엔티티로 통합하는 상향식 접근 방식

 

   · 인스턴스 존재 유형에 따른 분류

        ◽ 완전(Total) / 불완전(Partial)

          ➡ 상위 수준 엔티티(슈퍼타입)의 모든 인스턴스가 하위 수준 엔티티(서브타입)의 인스턴스에 모두 존재하느냐 일부만 존재하느냐

 

        ◽ 배타적/ 포괄적 

          ➡ 상위 수준 엔티티의 모든 인스턴스가 하위 수준 엔티티 중 하나에만 존재한다면 배타적 일반화

          ➡ 둘 이상의 하위 엔티티에 속한다면 포괄적 일반화

 

         ex )

                1 . 성별로 구분할 경우, 남자나 여자 둘 중 하나에는 반드시 존재하므로 완전 일반화 성격을 가지고, 둘 중 하나만 속해야 하므로 배타적이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2 . 학교 구성원의 하위 수준 엔티티를 교수와 학생으로 구분할 경우,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교직원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불완전한 집합, 교수이면서 학생이 될 수 있으므로 포괄적인 성격을 가진다.

 


◽ 특수화 (Specialization)

     · 일반화의 반대 개념

하나의 상위 수준 엔티티를 두 개 이상의 하위 수준 엔티티로 분할하는 하향식 접근 방식

 

ex ) 개인고객과 법인고객을 고객 엔티티 하나로 관리할 경우, 어떤 속성이 개인고객 속성인지 법인고객 속성인지 알 수 없다.

➡ 특수화를 통해 각각의 엔티티에 해당하는 속성을 식별함으로써 업무 규칙을 제대로 반영할 수 있다.

 


◽ 집단화 (Aggregation)

     · 기본 ER 모델의 표기법은 다른 관계를 포함하는 관계를 포함할 수 없다.

 

      ex ) "고객이 상품을 주문하고, 주문한 상품을 택배 회사가 배송한다."

              ➡ 고객과 상품 간의 관계인 [주문]관계와 택배 회사와의 관계인 [배송]관계 간의 관계를 가지는 경우, 관계와 관계 간을 연결할 수 없다.

 

     · 고객과 상품 간의 관계를 집단화하여 주문상품으로 새롭게 정의하고, 이 엔티티와 배송 회사 간의 관계인 [배송]관계로 표현한다.

         ➡ 즉, 집단화는 고객, 상품 간의 관계를 단일 엔티티인 주문상품으로 재정의한 것을 의미

              하나의 엔티티로 취급되는 두 개 엔티티 사이에서 나타나며, 해당 엔티티와의 관계가 상위 수준 엔티티로 대체된다.


☁ Entity의 분류

 

관계에 따른 분류

    ▫ 강한(Strong) 엔티티

             - 독립적으로 존재

             - 엔티티 내에서 자체 식별자를 사용하여 고유하게 인스턴스를 식별할 수 있는 엔티티

                ex ) 고객, 상품 등

 

    ▫ 약한(Weak) 엔티티

             - 다른 엔티티에 종속적

             - 자체 식별자를 가지지 못함 ➡ 다른 엔티티의 식별자를 상속받아 사용하는 엔티티

               ex ) 주문상품은 주문에서 주문번호를 상속받아 식별자로 사용한다.

 

형태에 따른 분류

    ▫ 독립(Kernel, Master) 엔티티

             - 사람, 물건(대상), 장소, 개념처럼 원래부터 현실에 존재하는 엔티티

               ex ) 고객, 상품, 창고, 조직 등

 

    ▫ 업무중심(Transaction) 엔티티

             - 업무를 처리하며 발생하는 데이터에 해당하는 엔티티

             - 비슷한 의미의 이름을 가짐

               ex ) 주문, 결제, 배송, 청구 등 

 

    ▫ 종속(Dependent) 엔티티

             - 주로 업무중심 엔티티에서 1차 정규화로 인해 분리된 엔티티에 해당

              ex ) 주문상품, 주문배송 엔티티 ➡ 주문 엔티티가 있어야 존재할 수 있는 엔티티 (= 주문 엔티티의 종속 엔티티에 해당됨)

 

    ▫ 교차(Associative, Relative) 엔티티

             - 두 개 이상의 엔티티 간에 발생하는 트랜잭션에 의해 생성되는 엔티티

              ex ) 고객과 역할 간의 관계 엔티티인 고객역할 엔티티처럼 대부분 논리 모델링에서 다대다(N:M) 관계를 해소하기 위해 도출됨

 

생성 관점에 따른 분류

    ▫ 핵심(Key) 엔티티

             - 자신의 부모 엔티티를 갖지 않는 독립적이자 핵심적인 엔티티

              ex ) 고객, 상품, 조직 등

 

    ▫ 중요(Main) 엔티티

             - 핵심 엔티티 간의 거래 관계에 의해 생성되는 엔티티 (업무의 핵심이 되는 엔티티)

              ex ) 계약은 고객과 상품의 거래  관계에 의해 생성되며, 고객과 상품을 부모로 갖는다.

 

    ▫ 행위(Action) 엔티티

             - 실제 업무 행위에 의해 지속해서 발생하는 거래 행위에 대한 엔티티

              ex ) 청구내역 엔티티는 중요 엔티티에 해당하는 계약에 의해 지속해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관리하는 엔티티에 해당한다.

 

유무형에 따른 분류

    ▫ 실체(Tangible) 엔티티

             - 고객, 상품과 같이 눈으로 볼 수 있는 물리적인 형태를 가지는 엔티티

 

    ▫ 비실체(Intangible) 엔티티

           ▫ 개념(Conceptual) 엔티티 : 조직, 보험상품, 서비스 등 물리적인 형태는 없으나 개념적으로 존재하는 비실체(Intangible) 엔티티

           ▫ 사건(Event) 엔티티

                  - 계약, 주문, 결제 등과 같이 업무 행위와 관련된 비실체 엔티티

                  - 데이터가 빈번하게 생성되고, 변경되는 특성

 

 

 

Ref.

https://product.kyobobook.co.kr/detail/S000001975842

 

핵심 데이터 모델링 | 유동오 - 교보문고

핵심 데이터 모델링 | 이 책은 모델링 이론과 개념모델링, 논리모델링, 물리 모델링 과정에서 수행하는 작업을 중심으로 기술했으며, 마지막에는 모델링 사례를 바탕으로 다양한 주제를 다루었

product.kyobobook.co.kr

 

Comments